[Elastic Search] 데이터 검색
by Cori1. 엘라스틱 서치에 존재하는 스냅숏의 목록 확인
$ curl -XGET "http://localhost:9200/_snapshot/javacafe/_all?pretty"
2. movie-search의 스냅숏 복구
$ curl -XPOST "http://localhost:9200/_snapshot/javacafe/movie-search/_restore"
3. 인덱스 생성하기 (movie_nested)
PUT move_nested
{
"settings": {
"number_of_replicas": 1,
"number_of_shards": 5
},
"mappings": {
"_doc": {
"properties": {
"repGenreNm": {
"type": "keyword"
},
"companies": {
"type": "nested",
"properties": {
"companyCd": { "type": "keyword" },
"companyNm": { "type": "keyword" }
}
}
}
}
}
}
4. 인덱스 조회
$ GET /_cat/indices/movie_search?v&pretty
5. URI 검색
· Request Body 검색에 비해 단순하고, 사용이 편리하지만 복잡한 질의문을 입력하기 힘들다.
· 엘라스틱서치에서 제공하는 모든 검색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.
· 웹브라우저를 통해 빠르게 테스트할 수 있다.
6. Request Body 검색
· URI 방식에 비해 다양한 조합의 검색 쿼리 작성 가능
· 엘라스틱서치가 제공하는 검색 API 모두 활용 가능
'AI > Data Analys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astic Search] VM Workstation을 이용한 Elastic Search, 설정 (0) | 2021.10.27 |
---|---|
[Elastic Search] VM Workstation을 이용한 Elastic Search 사용 (1) (0) | 2021.10.26 |
[크롤링] 외국인 관광객 데이터 다루기 (2) (0) | 2021.09.07 |
[크롤링] 3. 외국인 관광객 데이터 다루기 (1) (0) | 2021.08.30 |
[크롤링] 2. 유튜브 랭킹 데이터 다루기 (0) | 2021.08.27 |
블로그의 정보
코딩하는 오리
Cori